반응형
리눅스 서버를 다루다 보면 고정 IP 설정은 거의 필수입니다. 특히 클라우드나 내부 서버망을 구성할 땐 네트워크 주소가 바뀌지 않도록 직접 IP를 설정해줘야 하죠.
이번 포스팅에서는 Rocky Linux 8/9에서 고정 IP를 설정하는 방법을 CLI 중심으로 소개합니다. nmcli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GUI 환경이 없는 서버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✅ 사전 확인
nmcli device status
→ 현재 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명을 확인하세요.
예: ens33, eth0, enp0s3 등
🔧 고정 IP 설정 절차
1️⃣ 연결 이름 확인
nmcli connection show
2️⃣ 연결 수정 (고정 IP 지정)
nmcli connection modify [연결이름] ipv4.method manual \ ipv4.addresses [IP주소]/[서브넷] \ ipv4.gateway [게이트웨이주소] \ ipv4.dns [DNS서버주소]
예시:
nmcli connection modify ens33 ipv4.method manual \ ipv4.addresses 192.168.100.50/24 \ ipv4.gateway 192.168.100.1 \ ipv4.dns 8.8.8.8
ipv4.method auto → manual로 변경해야 고정 IP로 적용됩니다.
3️⃣ 자동 연결 설정
nmcli connection modify ens33 connection.autoconnect yes
4️⃣ 적용 및 재시작
nmcli connection down ens33 && nmcli connection up ens33
🧪 설정 확인
ip addr show ens33
💡 보너스: 설정 파일 직접 편집도 가능
vi /etc/NetworkManager/system-connections/ens33.nmconnection
이 파일에서 아래 항목을 수동으로 지정할 수도 있어요 (단, nmcli보다 위험할 수 있음):
[ipv4] method=manual addresses=192.168.100.50/24; gateway=192.168.100.1; dns=8.8.8.8;
✅ 마무리
Rocky Linux에서 IP를 고정으로 설정하는 건 어렵지 않습니다. nmcli 명령어 몇 줄이면 서버의 네트워크 설정을 깔끔하게 구성할 수 있어요.
추가로 nmcli connection add를 사용해 새 연결을 만들 수도 있지만, 대부분은 기존 연결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충분합니다.
반응형